교육 자료실
교육자료실
GAP(농산물우수관리인증) 개요
최고관리자2021-10-14
52
(Good Agricultural Practices) > GAP
GAP(농산물우수관리인증) 개요
도입목적
GAP(농산물우수관리인증) 개요
도입목적
- 생산단계에서 판매단계까지의 농산식품 안전관리체계를 구축하여 소비자에게 안전한 농산물을 공급
- 농산물의 안전성확보를 통한 국내 소비자 신뢰제고 및 국제시장에서 우리 농산물의 경쟁력 강화
- 저투입 지속가능한 농업을 통한 농업환경 보호
- 일부 채소 · 과일에서 농약이 과다검출 되었다는 언론보도 등으로 농산물 안전성에 대한 국민적 우려가 증대 특히, 김치에서의 기생충알 사건, 학교급식 사건 등으로 국내농산물에 대한 안전성 강화 필요성 대두
- 국제적으로도 안전농산물 공급 필요성을 인식하여 Codex(‘97), FAO(’03) 등 국제기구에서 GAP기준을 마련
- CODEX (국제식품규격위원회), FAO(국제식량농업기구)에서는 지속 가능한 농업 추진 및 안전성 강화를 위하여 GAP 기준 제시 ※식품체인접근법 : 식품의 생산에서 소비까지 전 단계를 체계적으로 관리 · 공개하는 식품 안전 예방 조치.
- 유럽,미국, 칠레, 일본, 중국 등 주요 국가가 GAP제도를 현재 시행중. 이에 따라, 우리나라도 농산물 안전성 강화를 위하여 GAP제도를 ’06년부터 본격 시행
- 농산물으 안전성에 대한 소비자 인식 제고 소비자가 만족하는 투명한 우수관리인증농산물 생산체계 구축을 통하여 국산 농산물에 대한 소비자 인식제고 및 신뢰 향상으로 수익성 증대를 도모할 수 있음
- 농산물 품질관리제도 도입에 의한 생산농가의 경쟁력 확보 국산 농산물의 수출 경쟁력 확보가 가능하며, 수입 에 대하여도 동등한 수준의 GAP 적용을 요구할 수 있으며, 통명거래에 의한품질관리도 용이해짐.